반응형
1. git init -> 로컬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후 git의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한 초기화 작업(git을 사용하겠다고 알림)
2. git add * -> 로컬 프로젝트 폴더 안에 있는 모든 파일을 관리 대상으로 지정함(파일 목록을 git의 index에 추가하는 것)
3. git commit -m 'blablabla~' -> 첫 커밋 실행: git의 index에 변경된or수정된 파일들을 head에 전달하여 확정함.(버전 업)
4. git remote add origin(원격저장소 remote 이름) repository_url -> 원격저장소 remote를 생성하고 나의 원격저장소(github에서 생성한 repository)를 연동함.
반응형
'Other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개발자 로드맵 (0) | 2020.01.08 |
---|---|
[Keyword Tool] 키워드 조사 (0) | 2019.12.12 |